건국대학교 일반대학원 바이오힐링융합학과는 치료사와 함께 정서적 지지, 치료동기부여 등을 통해 내담자를 돕는 '치료도우미견'의 교내 캠퍼스 출입이 허가됐다고 29일 밝혔다.

'건국대 동물매개치료' 리드를 착용한 꼬야 (바이오힐링융합학과 동물매개치료전공 재학)
동물매개치료현장에서 치료사와 더불어 함께 내담자를 만나는 치료도우미동물은 기질평가, 훈련, 사회성 교육 등 여러 단계를 거쳐 교육되고, 인증된다. 현재 전 세계적으로 가장 활발하게 활동하는 치료도우미동물은 ‘개’이며 전체 치료도우미동물의 90% 이상을 차지하고 이 외 ‘고양이’, ‘토끼’, ‘말’ 등도 활동하고 있다.교내 산책 시 2m 이내 목줄을 사용하며, 멀리서도 인식가능한 ‘건국대 동물매개치료’ 리드를 사용한다. 가능한 일감호 순환로와 수의대 건물 주변에 한하여 산책하고, 보행자를 만날 경우 사회적 거리를 유지하되, 건물 내에서도 타 학생들과의 관계에서 먼저 배려하고, 치료도우미동물과 학생들이 공존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는데 의견을 모았다.바이오힐링융합학과 동물매개치료전공 한진수 주임교수는 “치료도우미동물은 치료현장에서 내담자와 치료사 사이에 긍정적인 관계형성에 도움을 주는 역할로 치료 동기부여, 내담자의 정서적 지원 등 내담자의 문제를 개선, 호전시키는 데에 큰 역할을 한다”고 말했다.한편 바이오힐링융합학과는 광진구와 서울시가 지원하는 ‘광진구-건국대연합 반려동물학교’를 진행하고 있다. 이 프로그램은 3R동물복지연구소 및 캠퍼스타운사업단이 주관하며, 건국유업&햄 및 펫&뉴트리션이 후원하며, 수의사, 동물복지 전문가, 반려견 행동전문가, 반려동물 아로마테라피스트, 그리고 동물매개심리상담사 등 다양한 분야 전문가들이 참여한다.